CSRF (사이트간 요청 위조)
사이트 간 요청 위조는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중 하나로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공격자가 의도한 행동을 하여 특정 웹페이지를 보안에 취약하게 한다거나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하게 만드는 공격방법을 의미한다. 2008년에 발생한 옥션의 개인정보 유출사건에서도 관리자 계정을 탈취하는데 이 방법이 사용되었다. 공격의 난이도가 높지 않아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다.
공격방법
이러한 공격을 하기 위하여 해커는 우선 공격할 사이트를 먼저 분석한다. 예를 들어서, 나무위키의 경우에 토큰은 namu.wiki/topic/ 이라고 시작하며 뒤에 숫자가 붙는 형식인데 이 뒤의 숫자에 패턴이 있다. 그러면 이 패턴을 이용하여 ㅇ리반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없는 페이지를 오픈 한다든지, 개발에 사용되고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샘플 페이지를 찾아낸다든지 이러한 방법이 가능하다. 그것이 아니라 웹페이지가 독자적 개발이 아닌 외부에서 개발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서 조금 수정한 것이라면 공격자는 경우에 따라 해당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개인 서버에 설치한다. 그 다음 공격 가능 패턴을 분석한다. 주로 공격자들이 찾는 것은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 페이지나 타 시스템과 로그인 연동 주소 패턴같은 인증 관련된 취약점을 찾는다.
그 다음에 여기서 나온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개된 게시판이나 메일을 이용해 사용자가 해당 링크를 열게 만들면 공격이 완료된다.
공격예시
참고로, img 태그도 GET 메소드를 사용해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img를 이용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사이트는 img 를 필터링하지 않으므로, 혹은 필터링 하지 못하므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무위키의 경우 <img src="https://namu.wiki/logout">와 같은 코드를 넣어주면 해당 문서를 볼 경우 로그아웃 된다. 이는 나무위키뿐만이 아닌 대부분 사이트의 문제.
방어 방법
방어 방법 중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Referer을 체크하는 방법이 있다. Referer는 HTTP 헤더에 있는 정보로 해당 요청이 요청된 페이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해당 정보는 Paros나 Zap, fiddler같은 프로그램으로 조작이 가능하지만 방법이 간단하여 소규모 웹사이트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그 외에는 패스워드 변경 같은 민감한 정보를 다룰 때에는 세션에 임의난수(토큰)을 발급하여, 해당 난수가 없는 상황에서 해당 동작들이 이루어지면 요청을 거부하는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정말로 변경을 의도하는 경우에만 변경을 시켜주는 방법, 변경시에 CAPTCHA를 이용하여 캡챠 인증코드가 없거나 틀리면 거부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GET/POST 등을 구분하여 주는 것 역시 유용하다. img 태그 등을 이용할 경우 GET 요청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고, 반면 흔히 하듯 form을 이용해 값을 받을 경우 POST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위의 방법들을 일일이 적용하기 귀찮다면, 대개 프레임워크에서 위의 방법들을 통합한 플러그인 등을 제공하는 경우들이 많으니 찾아보도록 하자.